-
[정보보안]공개키 기반구조와 전자봉투MajorClass/Information Security 2022. 12. 10. 20:35
1. 공개키 기반구조(PKI)
- 공개키 기반 구조(PKI,Public Key Infrastructure)는 메시지의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제공하는
- 복합적인 보안 시스템 환경
- 데이터의 기밀성(confidentiality) 제공
- 데이터의 인증(autentication) 제공
- 전자상거래를 위한 필수 요소
- 전자정부, 조달청, 국세청
- 인터넷 뱅킹, 증권, 보험, 기업 금융 서비스
- 전자구매, 전제세금계산서, 전자무역,전자입찰
2.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기밀성과 인증
- 기밀성 (Confidentiality)
- 데이터의 정보를 감충
- 암호 알고리즘 : Elgamal, RSA
- 인증 (Authentication)
- 데이터 인증
- 데이터의 무결성 인증
- 데이터의 위/변조 여부 인증
- 사용자 인증
- 데이터의 생성자 인증
- 전자서명
- DSA ,RSA 등
- 데이터 인증
3. 공개키 인증
- 인증서(Certificate)
- 각 사용자의 공개키에 대한 증명서
- 인증 기관 (CA: Certificate Authority)
- 각 사용자의 공개키에 대한 인증 및 증명서 발급
- PKI (Public-key Infrastructure)
- 사용자+공개키+인증서+인증기관으로 구성
- 인증 정보의 일원화
- 인증서 표준
- 국외 표준
- X.509
4. 계층적 인증 구조
- PAA(Policy Approval Authorities, 정책승인기관)
- PCA(Policy Certification Autorities, 정책인증기관)
- Root CA
- 모든 인증서의 기초가 되는 인증서 보유
- 한국인터넷진흥원
- Root CA
- CA (Certification Autority,인증기관)
- 인증서 발급과 취소 등의 실질적인 업무 담당
- yessign(금융 결제원),NCA(한국 전산원)
- RA(Registration Authority,등록기관)
- 사용자의 신분 확인
- 등록대행기관
- 은행 영업점
5. 공인 인증서
- 데이터
- 기본영역+확장영역
- 전자서명
- 데이터 영역을 발급자의 개인키로 전자서명
- 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인증서의 사용 금지
5. 인증서 사용
M,Sig(A의 개인키,H(M)),A의 인증서
A의 인증서가 유효한지 검증
A의 공개키 획득
Verify(공개키, sig)
6. 전자 봉투
'MajorClass > Information 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보안] 해시 (0) 2022.12.10 [정보보안] 전자서명 / RSA Signature / DSA (0) 2022.12.09 [정보보안] RSA Encryption과 Diffie-Hellman Key Exchange (0) 2022.12.09 [정보보안] Discrete Logarithm Problem(DLP)와 Elgamal Encryption(엘가멜 암호화) (0) 2022.12.09 [정보보안] 공개키 암호 시스템과 정수론 (0) 2022.12.07